준토쿠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토쿠 천황은 1210년 14세의 나이로 즉위한 일본의 제84대 천황이다. 그는 고토바 천황의 아들로, 아버지의 막부 타도 계획에 참여했다가 조큐의 난으로 인해 사도가섬으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1242년에 사망했다. 그는 유배 생활 중에도 시를 짓고, 유직고실 연구에 몰두했으며, "킨비쇼"를 저술했다. 그의 능묘는 교토의 오하라 능과 사도의 마노 고릉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도국 사람 - 니치렌
니치렌은 13세기 일본의 승려로, 법화경 중심의 불교를 주창하며 새로운 종파를 창시하고, 가마쿠라 막부 시대에 사회 문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했던 현실주의적 구원관과 실천적 신앙을 강조한 인물이다. - 사도국 사람 - 요시코 여왕 (1225년)
요시코 여왕 (1225년)의 와카는 사도가 섬 가라사키 지역의 소나무 풍경을 보고 싶어하는 열망을 담아 자연을 소재로 인간의 감정을 간결하게 표현한다. - 1197년 출생 - 창원공
고려 희종과 성평왕후의 아들인 창원공 왕치는 태자로 책봉되었지만 아버지의 폐위로 유배 후 창원후, 창원공에 봉해졌으며, 고종의 왕비인 안혜왕후가 그의 누이이다. - 1197년 출생 - 니키포로스 블렘미디스
니키포로스 블렘미디스는 13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로서 철학, 신학, 법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 기독교 신학 재해석, 동방 정교회 옹호 등 비잔틴 제국 학문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242년 사망 - 차가타이 칸
차가타이 칸은 칭기즈 칸의 둘째 아들로, 엄격하고 호전적인 성격으로 정복 전쟁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오고타이 칸의 즉위를 지지하고 중앙아시아를 다스려 차가타이 한국의 기틀을 다졌다. - 1242년 사망 - 호조 야스토키
호조 야스토키는 가마쿠라 막부의 무장이자 제3대 싯켄으로, 조큐의 난에서 활약하고 《고세이바이시키모쿠》를 제정하며 합의제 정치를 도입하는 등 정치 개혁을 추진했다.
| 준토쿠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준토쿠 천황 |
| 한풍 시호 | 중국풍 시호: 준토쿠 천황 (順徳院 또는 順徳天皇) |
| 이칭 | 사도인 |
| 통치 | |
| 즉위 | 1210년 12월 12일 |
| 퇴위 | 1221년 5월 13일 |
| 재위 기간 (음력) | 쇼겐 4년 11월 25일 - 조큐 3년 4월 20일 |
| 즉위례 | 1211년 1월 14일 (쇼겐 4년 12월 28일) |
| 다이죠사이 | 1212년 12월 7일 (겐랴쿠 2년 11월 13일) |
| 연호 | 쇼겐 겐랴쿠 겐포 조큐 |
| 쇼군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
| 간파쿠 | 고노에 이에자네 |
| 인물 정보 | |
| 휘 | 모리나리 (守成) |
| 명명일 | 1200년 1월 4일 (쇼지 원년 12월 16일) |
| 유칭 | (정보 없음) |
| 출생일 | 1197년 10월 22일 |
| 출생 장소 | 경이위 저택 |
| 사망일 | 1242년 10월 7일 |
| 사망 장소 | 사도섬, 가마쿠라 막부 |
| 능묘 | 오하라노 미사사기 (교토) 마노노 미사사기 (화장총) |
| 장례 | 1243년 6월 1일 (간겐 원년 5월 13일) |
| 아버지 | 고토바 천황 |
| 어머니 | 후지와라노 시게코 (슈메이몬인) |
| 배우자 | 구조 릿시 (히가시이치조인), 1211년 결혼 |
| 자녀 | 주쿄 천황 외 |
| 왕가 | |
| 왕가 | 일본 황실 |
| 선대 천황 | 쓰치미카도 천황 |
| 계승 천황 | 주쿄 천황 |
2. 생애
준토쿠 천황은 후지와라노 사다이에(테이카)에게 시를 배웠으며, 그의 시 중 하나는 오구라 백인일수에 포함되었다. 백인일수의 시와 시인은 오늘날에도 널리 행해지는 카드 게임(우타 가루타)의 기초가 된다.[6] 『속후센집』 이하의 칙찬집에는 159수가 수록되어 있다.
조큐의 난 이후, 상황과 가까웠던 다이라노 쓰네타카의 『헤이도키』 니지 3년 10월 10일 조에 "귀경하는 것을 생각하여 끊었기 때문이다"라고 적혀 있다. 그해 초 시조 천황의 붕어 후, 가마쿠라 막부가 준토쿠 천황의 황자 다다나리 왕을 배제하고 쓰치미카도 상황의 황자 구니히토 왕(고사가 천황)을 즉위시키자(니지 3년의 정변), 귀경과 자손의 황위 계승에 대한 막부의 강한 거절 의사를 안 상황이 단식으로 사실상 자살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4] 유배 후에는 '''사도인'''으로 불렸으나, 겐초 원년(1249년) 7월 20일 '''준토쿠인'''으로 시호되었다.[11]
2. 1. 어린 시절과 즉위
고토바 천황과 슈메이몬인(수명문원)으로 알려진 후지와라노 시게코 사이의 황자로 태어났다.[10][11][12] 쇼지 원년(1199년) 1월에 친왕 선하를 받았다.[11]쇼지 2년(1200년) 4월에 쓰치미카도 천황의 황태제가 되었다.[11] 섭정인 구조 요시쓰네가 자신의 딸(릿시)을 쓰치미카도 천황에게 입내시키려 하자, 고토바 상황은 이를 중지시키고 동궁(준토쿠 천황)의 비로 삼도록 명령했다.『구칸쇼』|구칸쇼일본어 권6). 더불어 오랫동안 조정에 큰 영향을 미쳐온 고시라카와 법황의 황녀이자 시인으로 명성이 높았던 시키시 내친왕을 동궁의 준모로 삼으려 했으나 그녀의 급사로 실패로 끝나자, 그 대신 상황 자신의 준모였던 인부몬인 (시키시의 언니)을 준모로 삼아(『이노쿠마 간파쿠기』겐닌 원년 12월 18일 조), 상황의 후계자로서의 지위 강화를 꾀했다.[13]
조겐 2년(1208년) 8월, 막대한 하치조인령의 상속자인 이복 언니 쇼시 내친왕(슌카몬인)을 준모로 삼았고, 겐랴쿠 원년(1211년) 11월 쇼시 내친왕이 죽은 후에는 하치조인령을 상속했다.
조겐 4년(1210년) 11월 고토바 상황의 강한 의향에 따라, 쓰치미카도 천황의 양위를 받아 선조하여, 14세에 즉위했다.[10][11] 양위한 쓰치미카도 상황에게는 권력이 없었고, 고토바 상황에 의한 인세이가 지속되었다. 그 때문에 즉위 후의 내리는 간인에 있었다.[11] 천황의 치세에 관해 『마스카가미』|마스카가미일본어는 "이 어세에는 매우 현란한 일이 많고, 여러 곳의 행행이 잦아, 바람직한 모습이다"라고 평하고 있지만, 이처럼 세인의 주목을 끄는 화려한 행동이 많았던 것은 가마쿠라 막부에 대한 황권의 시위 행위의 일환으로 생각되며, 아마도 아버지 상황의 의도에 의한 바가 크다.
2. 2. 치세
어릴 때부터 재기가 풍부했던 준토쿠 천황은 1200년 4월에 황태자가 되었고, 1210년 11월 고토바 천황의 강한 의향에 의해 쓰치미카도 천황에게서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10][11] 온화한 성품의 쓰치미카도 천황과는 달리 격렬한 천성의 소유자로 기록되어 있으며, 고토바 상황의 총애를 받았다. 당시 양위한 쓰치미카도 상황에게는 권력이 없었고, 고토바 상황에 의한 인세이가 계속되었다.준토쿠 천황은 직접 정무를 맡지 않고 왕조 시대의 유직고실 연구에 심취했으며, 막부에 대항해 조정의 위엄을 나타내려는 목적으로 킨비쇼를 저술했다.[11][12] 또한 아버지의 영향으로 와카와 시에도 열심이었고,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를 스승으로 삼아 시를 배웠으며 후지와라노 도시나리 여 및 후지와라노 타메이에와도 친교가 있었다. 가집으로는 《준토쿠인어집》(자금화가초)이 있고, 가론서로는 당시의 가론을 집대성한 야쿠모미쇼가 알려져 있다.[11][12]
1221년 4월, 준토쿠 천황은 부 상황(쓰치미카도 천황)의 막부 토벌 계획에 참가하기 위해 아들인 가네나리 친왕(주쿄 천황)에게 양위하여 상황으로 물러났다. 부 상황 이상으로 가마쿠라 막부 타도에 적극적이었으며, 5월에 조큐의 난을 일으켰지만 실패하였다.[12] 난 이후 7월 21일, 상황은 교토에서 쫓겨나 사도가섬에 유배되었다.[11][12]
2. 3. 조큐의 난과 유배
1221년 고토바 천황이 가마쿠라 막부를 몰아내고 황실의 권력을 되찾으려는 시도에 참여하면서, 준토쿠 천황은 양위를 강요받았다. 이러한 정치적, 군사적 투쟁은 조큐의 난 또는 조큐 사건(''Jōkyū-no ran'')으로 불렸다.[4] 1221년 4월, 아버지 고토바 상황의 막부 토벌 계획에 참가한 준토쿠 천황은 아들 가네나리 친왕(주쿄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황으로 물러났다.[11] 그는 부황(쓰치미카도 천황) 이상으로 가마쿠라 막부 타도에 적극적이었으며, 5월에 조큐의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12]난 이후 7월 21일, 준토쿠 상황은 교토에서 쫓겨나 사도로 유배되었다.[11][12] 사도 섬(佐渡島 또는 佐渡ヶ島, 둘 다 ''사도가시마'')에서 1242년 사망할 때까지 21년간 머물렀다.[5] 유배된 지 21년 후인 1242년 9월 12일에 사도가섬에서 사망했다.[11]
사도에서 말년을 보냈기 때문에 사후에 사도노 인(佐渡院)으로 불렸다. 사도의 서해안에 있는 능묘인 마노 고료에 묻혔으며,[5] 교토에는 준토쿠 천황의 공식적인 황릉(''미사사기'')이 있다.
3. 가계
| 배우자 | 이름 | 출신 가문 및 본관 | 비고 |
|---|---|---|---|
| 중궁 | 구조(후지와라노) 릿시 | 구조 요시쓰네의 딸 | 1192년 - 1247년 |
| 텐지 | 후지와라씨 | 후지와라노 노리미츠의 딸 | |
| 후궁 | 후지와라노 다쓰코(류우시) | 보몬 노부키요의 딸 | |
| 후궁 | 후지와라 씨 | 후지와라 기요스에의 딸 | |
| 후궁 | 겐지 | 승려 호린 고가의 딸 |
| 자녀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 제1황녀 | 죠시 내친왕 | 1216년 - 1279년 | 에이안몬인 |
| 제2황녀 | 아키라메루코(데이시) 내친왕 | 1217년 - 1243년 | 메이기몬인 |
| 제1황자 | 손카쿠 법친왕 | 1215년 - 1264년 | 닌나지, 천대좌주 |
| 제2황자 | 가쿠에 법친왕 | 1217년 - ? | 쇼고인, 온죠지 장사 |
| 제3황자 | 가네나리 친왕 | 1218년 - 1234년 | 주쿄 천황 |
| 제4황자 | 히코나리 왕 | 1219년? - 1286년? | 요절했다는 설과 사도 쇼코지를 개기한 젠쿠보 신넨이라는 전승이 있음 |
| 제5황자 | 다다나리 왕 | 1222년 - 1279년 | 이와쿠라노미야 |
| 제3황녀 | 요시코 여왕 | 1225년? - 1286년? | |
| 제4황녀 | 다다코 여왕 | 1232년? - 1249년? | |
| 제6황자 | 요시무네 친왕 | 1233년 - 1317년 | 요쓰쓰지노미야 |
| 제7황자 | 치토세노미야 | 1237년? - 1254년? | 명칭 모름 |
| 제8황자 | 기인 법친왕 | 1217년 - 1300년 | 히고 다이지지 |
4. 연호
5. 평가 및 유산
준토쿠 천황은 후지와라노 사다이에(테이카)에게 시를 배웠으며, 그의 시 중 하나는 유명한 선집인 오구라 백인일수에 포함되었다.[6] 테이카의 시 모음에 담긴 이러한 문학적 유산은 준토쿠 천황의 다른 생애 업적의 범위를 넘어 지속적인 대중적 명성을 부여했다. 백인일수의 시인과 시는 오늘날에도 널리 행해지는 카드 게임(''우타 가루타'')의 기초가 된다.[6]
온화한 형인 도바 천황과는 대조적으로 격렬한 성격의 소유자였다고 전해지며, 고토바 상황으로부터 큰 기대를 받았다고 한다. 스다 후미에는 준토쿠 천황이 반 막부 의식을 강하게 갖게 된 것은, 헤이 씨의 생존자인 할머니 타이라노 쿄코 밑에서 자랐고, 주변에 헤이 씨 관계자가 많았던 것에 한 원인이 있다고 보고 있다.
유배 중 지은 시가로 조에이 원년(1232년)의 『순덕원 어백수(順徳院御百首)』가 전해진다.[12]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는 막부에 대한 배려로 『신칙선화가집』에 준토쿠 천황의 어제를 채록하지 않았지만, 『오구라 백인일수』에는 다음 1수를 채록했다.
- 모모시키야 후루키노키바노 시노부니모 나호 아마리 아루 무카시나리케리 (순덕원)
주요 저서로는 유직고실서인 『금비초』, 가론서인 『야쿠모 어초』가 있다.
6. 능묘
능(미사사기)은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오하라 쇼린인 마을에 있는 '''오하라 능'''(오하라노미사사기)으로 지정되어 있다.[12] 궁내청 상의 형식은 원구이다.
고토바 상황의 붕어 다음 날 사도 마노산에서 화장되었지만, 간겐 원년 4월에 유골은 도읍으로 옮겨져 다음 달에 고토바 상황의 오하라 홋케도 옆에 안치되었다. 당은 후에 황폐해져 소재도 불분명해졌지만, 겐로쿠 탐릉 때 이곳이 능으로 의정되어 메이지 22년 정식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니가타현 사도시 마노에 있는 '''마노 고릉'''(마노노미사사기)은 정식으로는 화장총이지만, 예로부터 지역에서 고릉으로 숭배해 온 것으로, 엔포 7년에 사도 봉행 소네 요시마사가 수복을 더했고, 메이지 7년부터 정부의 관리 하에 있다. 덧붙여, 이 능은 호레키 12년에 일어난 사도 앞바다 지진 때, 석축이 무너지는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15]
황거에서는 황령전(궁중삼전 중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과 함께 천황의 영이 제사 지내지고 있다. 또한 오사카부 미시마군 시마모토정의 미나세 신궁에서는 제신으로 모셔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1834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National Geographic Traveler Japan
2005
[6]
서적
Pictures of the Heart: The Hyakunin Isshu in Word and Image
1996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10]
코토뱅크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11]
코토뱅크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
https://kotobank.jp/[...]
[12]
코토뱅크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https://kotobank.jp/[...]
[13]
논문
准母立后制にみる中世前期の王家
2001
[14]
논문
'『平戸記』の順徳院-仁治三年十月十日条から読む-'
2002
[15]
뉴스
都司嘉宣 佐渡沖地震(1762年) 島北端を襲った大津波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